네, 각 커밋 타입에 어울리는 이모지를 추가하면 메시지가 더욱 직관적이고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쉬워집니다. 아래는 feat
, fix
, docs
, style
, refactor
, test
, chore
각 타입에 어울리는 이모지와 예시 커밋 메시지입니다:
✨ feat(auth): 사용자 로그인 기능 추가
- JWT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도입
- 로그인 시 토큰 발급 로직 구현
🐛 fix(parser): null 값 처리 버그 수정
- 파서가 null 입력을 처리하지 못해 크래시 나는 문제 해결
- 관련 테스트 케이스 추가
📚 docs(README): 설치 가이드 업데이트
- 최신 설치 방법 및 의존성 정보 추가
- 예제 코드 업데이트
🎨 style: 코드 포맷팅 및 불필요한 공백 제거
- ESLint 규칙에 맞게 코드 정리
- 세미콜론 누락 수정
♻️ refactor(user-service): 사용자 관련 로직 리팩토링
- 중복 코드 제거 및 함수 분리
- 성능 최적화 적용
🧪 test(auth): 로그인 기능 테스트 케이스 추가
- JWT 인증 로직에 대한 유닛 테스트 작성
- 기존 테스트 코드 리팩토링
🔧 chore(deps): 의존성 패키지 업데이트
- lodash 버전을 최신 안정 버전으로 업데이트
- package-lock.json 재생성
✨ feat(auth): 사용자 로그인 기능 추가
- JWT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도입
- 로그인 시 토큰 발급 로직 구현
🐛 fix(parser): null 값 처리 버그 수정
- 파서가 null 입력을 처리하지 못해 크래시 나는 문제 해결
- 관련 테스트 케이스 추가
📚 docs(README): 설치 가이드 업데이트
- 최신 설치 방법 및 의존성 정보 추가
- 예제 코드 업데이트
🎨 style: 코드 포맷팅 및 불필요한 공백 제거
- ESLint 규칙에 맞게 코드 정리
- 세미콜론 누락 수정
♻️ refactor(user-service): 사용자 관련 로직 리팩토링
- 중복 코드 제거 및 함수 분리
- 성능 최적화 적용
🧪 test(auth): 로그인 기능 테스트 케이스 추가
- JWT 인증 로직에 대한 유닛 테스트 작성
- 기존 테스트 코드 리팩토링
🔧 chore(deps): 의존성 패키지 업데이트
- lodash 버전을 최신 안정 버전으로 업데이트
- package-lock.json 재생성